반응형

[ TDD ]

코드 개발과 테스트 사이에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접근이다.

개발 전에 테스트프로그램을 작성하여 테스트에 통과할 때까지 계속 개발해야한다. 모든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면 이동할 수 없다.

TDD agile methods의 부분으로서 만들어 졌다. 그러나 plan-driven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.

 

[ TDD process ]

새로운 기능은 작아야 한다.

그 기능에 대해 추가하지 않으면 테스트는 실패할 것이다.

일단 테스트가 성공적으로 실행되면, 다음 기능으로 이동 할 수 있다.

 

[ TDD의 장점 ]

 문제점을 이해하기 좋다. 테스트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코드가 무엇을 하는 것인지 확실히 알아야 한다.

 code coverage : 모든 코드 segment는 최소 한번 테스트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코드는 실제로 실행되어 지는 것이다.

 Regression testing

 Simplified debugging : 테스트에 실패했을 때 가장 최근에 추가된 코드에서 문제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.

 System Documentation : 테스트 자체가 문서화되어 코드가 무엇을 수행하는 것인지를 설명한다.

 

댓글이나 공감 남겨주는 사람 착한사람

 

반응형

'학사 그리고 석사 > 소프트웨어공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Class Diagram – 고급 개념  (0) 2019.11.06
UML 이란  (0) 2019.11.06
Software Testing  (0) 2019.11.06
Release Management  (0) 2019.11.03
System Building  (0) 2019.11.03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