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 데이터 독립성 ]
▪ 고수준의 스키마를 변경할 필요 없이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의 어떤 단계에서 스키마를 변경할 수 있는 능 력으로 정의
▪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
- 외부 스키마나 응용 프로그램들을 변경하지 않으면서 개념 스키마를 변경하는 능력이다.
- 데이터베이스를 축소 시킴으로써 개념 스키마를 변경하는 경우에, 남아있는 데이터만 참조하는 외부 스키마를 변경할 수 있다.
- 외부 스키마 구조물들을 참조하는 응용 프로그램들은 개념 스키마가 논리적으로 재구성된 후에도 이 전 처럼 동작해야 한다. 외부 스키마나 응용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개념 스키마에 적용 되는 제약조건들을 변경 할 수 있다.
▪ 물리적 데이터 독립성
- 개념스키마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내부 스키마를 변경할 수 있음을 말한다. 따라서 외부 스키마도 변 경 할 필요가 없다.
[ 물리적 데이터 독립성 vs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 ]
▪ 물리적 데이터 독립성은 디스크에서의 데이터의 정확한 위치, 저장할 때 사용되는 암호화, 압축, 레코 드들을 쪼개거나 합치는 등의 물리적으로 상세한 사항을 사용자에게 은닉하는 대부분의 데이터베이스 와 파일 환경에 존재한다. 응용들은 이런 상세한 사항들을 알지 못한다.
▪ 이에 반해서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은 응용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구조적인 변경과 제약 조 건 변경을 허용하기 때문에 달성하기가 훨씬 어렵다
# 스키마가 어느 단계에서 변경될 때 이 단계 위의 스키마는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게 되기 때문에 데이터 독립성이 유지 된다. 단지 두 단계 사이의 사상만 변경 된다. 따라서 고수준의 스키마를 참조하 는 응용 프로그램들은 변경 할 필요가 없다.
댓글이나 공감 남겨주는 사람 착한사람
'학사 그리고 석사 > 데이터베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데이터베이스 설계 (0) | 2019.09.14 |
---|---|
데이터베이스 언어 (0) | 2019.09.14 |
3단계-스키마 아키텍처 (0) | 2019.09.14 |
데이터 모델, 스키마, 인스턴스 (1) | 2019.09.13 |
데이터베이스 사용자의 분류, DBMS의 장점 (0) | 2019.09.13 |